족저근막염 치료 id="tt-body-page"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족저근막염 치료

by 달콤한 꿈나무 2021. 7. 22.
반응형

족저근막염 치료 plantar fasciitis

족저근막염 정의.

족저근막염이란 종골이라 불리는 발뒤꿈치 뼈의 전내측과 다섯 발가락뼈를 이어 주는 족저근막은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발바닥이 받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두껍고 강한 섬유 띠를 말합니다.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 발을 들어 올리는 데 도움을 주지만 그 과정에서 반복적인 미세 손상을 입어 근막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변성이 유발되고 염증이 발생한 것을 족저근막염이라 합니다.

족저근막염 원인.

* 굽이 너무 높은 하이힐, 킬힐을 신은 경우.

* 굽이 너무 낮은 신발(플랫슈즈)을 신은 경우.

* 발바닥 모양이 평평하거나 너무 오목하게 굴곡진 경우.

* 발뒤꿈치의 지방패드가 적어지는 중년의 경우.

* 평소 걷기나 운동을 잘하지 않는 경우.

* 순간적으로 족저근막이 강하게 늘어나 펴지면서 손상을 받은 경우.

* 아킬레스건이 긴장되어 있거나 종아리 근육이 단축된 경우.

* 반복된 손상과 회복 과정에서 발뒤꿈치 뼈의 돌기가 자라난 경우.

* 발바닥에 무리를 주는 스포츠(마라톤, 축구 등)를 즐기는 경우.

* 갑자기 무리한 운동을 시작하는 경우.

* 여성 호르몬분비 변화의 경우.

* 과체중이거나 평발로 불리는 편평족의 경우.

* 다리 길이가 차이 나는 경우.

* 당뇨, 관절염 환자에서 동반되는 경우.

족저근막염 증상.

* 아침에 일어나 첫 발을 내디딜 때 심한 통증 발생

* 발뒤꿈치 전부 또는 발 안쪽 부위에 통증 발생.

* 발에 체중이 실릴 때 통증 발생.

* 한참 의자에 앉아 있다가 일어서 첫 발을 내디딜 때 통증 발생.

* 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구부리면 통증 발생.

* 움직이기 시작하면 통증 발생.

* 일정 시간 움직이면 통증이 줄어듦.

* 오랜 시간 걷거나 서 있어도 통증 발생.

증상과 통증의 강도가 심해지며, 보행에 장애가 생기면서 무릎이나 고관절, 척추에도 문제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의 진단 검사.

발뒤꿈치 뼈 전내측 종골 결절 부위의 명확한 압통점을 찾으면 진단이 가능하고, 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구부리거나 환자가 발뒤꿈치를 들고 서 보게 하여 통증이 증가되는 것을 보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문진, 이학적 검사, X-ray검사, 초음파 검사, MRI검사, CT, 근전도 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족저근막염 치료.

1. 보존적 치료 : 잘못된 운동 방법, 무리한 운동량, 불편한 신발 착용 등을 교정하여 원인을 제거하도록 합니다.

2. 스트레칭 : 팔 길이만큼 벽에서 떨어져 서서 한쪽 발을 다른 쪽 다리에서 50cm 정도 뒤로 옮긴 후 손바닥으로 벽을 짚고 발을 바닥에 붙인 채 몸을 천천히 앞으로 기울이되 뒤쪽 무릎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합니다. 이 자세로 10초간 유지했다 풀어주는 동작을 몇 번 반복하고 다리를 바꿔 다시 같은 동작을 반복합니다.

3. 보조기 : 뒤꿈치 컵(heel cup)이 가장 널리 사용되며, 족저근막염에 도움되는 인솔을 사용합니다.

4.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 부종이 동반된 급성기의 경우 효과가 있으나, 장기간 사용하는 것은 여러 부작용을 감안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5. 스테로이드 주사 요법 : 다른 보존적 치료를 충분히 사용한 후에도 증상 호전이 없을 때 시행하지만 반복 사용은 족저근막의 급성 파열 위험이 있습니다.

6. 체외 충격파 요법 : 통상적으로 6개월 이상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치료법이지만 치료효과는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7. 수술적 치료 : 충분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후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수술적으로 족저근막을 늘려주는 수술 방법을 시행합니다.

수술적 치료의 성공률은 70~90%로 알려져 있지만, 신경 손상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족저근막염의 예방 및 생활가이드.

종아리 근육이 뭉치지 않도록 자주 마사지하고 스트레칭해주고 바닥이 딱딱한 신발 및 깔창을 피하고 체중이 앞쪽으로 실리게 하는 하이힐 착용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발바닥의 근육의 긴장을 풀기 위해 테니스공이나 작은 페트병을 이용해 발바닥 안쪽으로 굴려 마사지해주며 무리한 운동이나 장시간의 보행을 삼가고 꾸준하고 적절한 강도의 운동을 해야 합니다.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충격 흡수가 잘 되지 않는 신발을 신고 조깅이나 마라톤 등을 하는 무리한 운동은 절대적으로 피해야 합니다. 통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며칠간 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쉬는 것이 중요하고, 얼음이나 차가운 물수건 등을 이용한 냉찜질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