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낙상에 의한 척추압박골절의 위험성
겨울철 낙상사고, 척추압박골절
겨울철에는 눈과 얼음으로 인해 낙상사고의 위험이 증가하며, 특히 척추압박골절의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골절은 노인에게 특히 치명적일 수 있으며, 빙판길 넘어진 이후 허리가 아플 때는 “척추압박골절”을 의심해야 하며, 그 외에도 낙상 시 손목 골절, 대퇴부 골절 등 위험 커지며 낙상으로 인한 부상은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겨울철 낙상사고의 원인
빙판길: 겨울철에는 도로와 보도가 얼어붙어 미끄러운 상태가 됩니다. 특히, “블랙아이스”라고 불리는 얇은 얼음층은 눈에 잘 띄지 않아 낙상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눈길: 눈이 쌓인 길에서도 시야가 가려져 낙상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척추압박골절의 위험성
겨울철에 발생하는 골절은 눈길, 빙판길에서 넘어져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노인들은 골밀도가 낮고 균형 감각이나 사고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져 낙상 시 골절상을 입기 쉽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250만 명 넘는 사람들이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등의 충격으로 요추, 골반 및 대퇴골이 골절돼 병원 치료를 받았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연령대별로는 골다공증 등으로 뼈가 약한 상태인 60세 이상 고령자의 비율이 약 69%로 3명 중 2명꼴입니다.
또한 노인의 경우 낙상으로 인한 골절은 사망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낙상사고로 사망하는 65세 이상 노인은 한 해 83만여 명에 달하며 사고 사망원인 2위, 전체 질병 중엔 암에 이어 5위라고 합니다. 특히 고관절은 빙판길에 미끄러질 때 골절되기 쉬운 부위이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고관절이 골절된 적 있는 50세 이상 사람들은 1년 내 사망률이 남성은 22%, 여성은 17%에 달했다고 합니다.
기존에 척추압박골절(외부의 강한 충격이나 낙상 등으로 척추뼈가 골절되는 질환) 등을 앓았거나 평소 허리가 안 좋은 사람은 겨울철에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낙상으로 인해 척추가 골절된 경우 5년 내 사망률이 70%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건강 상태에 따라 더욱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낙상사고 예방 방법
1. 보행 속도 조절: 겨울철에는 걸음 속도와 보폭을 10% 이상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2. 보조기구 사용: 지팡이와 같은 보조기구를 활용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가정 내 안전 조치: 집안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물건을 정리하고, 화장실에 미끄럼 방지 매트를 깔고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체적 요인
1. 근육 경직: 추운 날씨로 인해 근육과 관절이 경직되어 반응 속도가 느려집니다. 이는 미끄러운 길에서 넘어질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2. 노화: 고령자일수록 근력이 약해지고 균형을 잡기 어려워져 낙상사고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겨울철 낙상사고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
겨울철 낙상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보행 습관, 환경 점검, 신체 기능 향상, 적절한 복장, 그리고 주의 깊은 행동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낙상사고의 위험을 줄이고 안전한 겨울을 보낼 수 있습니다. 항상 주의 깊게 행동하여 안전한 겨울철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1. 안전한 보행 습관
** 서행하기: 미끄러운 길에서는 빠르게 걷기보다는 천천히 걸어야 합니다.
** 안전거리 확보: 다른 사람과의 거리를 두 배로 늘려서 미끄러질 경우 충돌을 피할 수 있도록 합니다.
** 굽이 낮은 신발 착용: 높은 굽의 신발보다는 평평하고 안정적인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미끄럼 방지 신발: 바닥이 고무로 되어 있는 미끄럼 방지 신발을 착용하여 미끄러짐을 예방합니다.
2. 신체 기능 향상
** 균형 운동: 요가나 태극권과 같은 균형을 향상하는 운동을 통해 낙상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근력 강화: 하체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통해 넘어질 때의 충격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적절한 복장
방한용품 착용: 모자, 장갑, 목도리 등으로 체온을 유지하고, 두꺼운 외투는 움직임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4. 주의 깊은 행동
급격한 회전 피하기: 미끄러운 길에서는 급격한 방향 전환이나 회전을 피하고, 보폭을 작게 하여 안정성을 높입니다.
추운 겨울철 안전하게 보내는 법
겨울철 보행 시 주의해야 할 행동요령은 안전한 보행 습관, 적절한 신발 착용, 주변 환경 인식, 안전한 보행 방법, 그리고 날씨에 따른 행동입니다. 이러한 요령들을 잘 지켜서 안전하고 건강한 겨울철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1. 보행 시 주의사항
** 주머니에서 손을 빼고 걷기: 손을 주머니에 넣고 걷는 것은 균형을 잃기 쉬우므로, 손을 빼고 걷는 것이 좋습니다.
** 보폭 줄이기: 보폭을 줄이고 종종걸음으로 걷는 것이 미끄러운 길에서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적절한 신발 착용
** 미끄럼 방지 신발: 미끄러운 구두나 슬리퍼보다는 운동화와 같은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손과 몸의 균형 유지
** 양팔을 벌리기: 걷는 동안 양팔을 벌려 균형을 유지합니다. 손을 주머니에 넣지 않도록 합니다.
** 몸의 중심 낮추기: 무릎을 약간 구부리고 몸의 중심을 낮추어 안정성을 높입니다.
4. 주변 환경 인식
** 길 상태 확인: 보행 중에는 길의 상태를 자주 확인하고, 특히 얼음이 있는 곳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스마트폰 사용 자제: 보행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 주의력을 높입니다.
5. 안전한 보행 방법
** 서행하기: 미끄러운 도로에서는 서행하며, 안전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주변 장애물 주의: 수도계량기함, 수도관 등 주변 장애물에 주의하여 걸어야 합니다.
6. 날씨에 따른 행동
한파 시 행동요령: 한파가 심할 경우 외출을 자제하고, 외출 시에는 따뜻한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넘어졌을 때 대처 방법
** 넘어질 때 몸을 구부리기: 넘어질 것 같을 때 몸을 구부려 충격을 줄이고, 손목이나 팔을 사용하여 부상을 최소화합니다.
** 주변에 도움 요청: 넘어졌을 때 주변에 사람이 있다면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겨울철 낙상사고에 의한 위험성은 굉장히 높고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사망률 또한 높게 나타나므로 연령이 높은 노년층의 경우에는 겨울철 낙상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조심하고 또 조심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척추보조기를 오래 착용하면 발생하는 문제점? (0) | 2025.03.18 |
---|---|
척추압박골절 치료와 보조기 착용 목적 (0) | 2025.02.21 |
척추압박골절 보조기 스피노메드와 자세교정밴드 차이점 (0) | 2025.01.17 |
척추보조기 스피노메드 (0) | 2025.01.16 |
척추압박골절 후 침상안정이 필요한 이유 (0) | 2025.01.15 |
댓글